NEWS & EVENTS
정의로운 전환(Just Transition)은 노동에 관한 이야기이다. 노동은 쉽게 말하자면 직장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남의 직장 이야기는 참 흥미롭다. 시간 대부분을 직장에서 보내는 월급쟁이들에게 작은 것 하나하나가 소중하기에, 우리는 직장 이야기를 나눌 때 차이와 동시에 격한 유대감을 공유한다….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는 에너지이다. 기후위기 속도를 늦추기 위해 전기에너지를 재생 가능한 에너지로부터 얻기 위한 노력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이와 관련해 해상풍력의 가능성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해상풍력은 바다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하여 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시설이다. 민가에 영향을 주지 않고 대규모로 설치할 수 있다는 상당한 이점이 있다.
그간 기후위기를 넘어서는 데 언어는 중요한 무기로 간주되어 왔다. 기후위기 커뮤니케이션이라는 분야는 기후위기의 과학적 근거를 비전문가들도 이해하게끔 전달해 대중이 기후위기 대응에 동참하도록 이끌 방안을 연구한다. 사람들이 에너지 절약 행동에 동참하도록 설득하는 캠페인 메시지를 만들고, 복잡한 에너지 문제를 몇 가지 주장으로 쉽게 요약해내고, 토론을 통해 서로 다른 생각들을 모아나가는 데 언어는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EAEH 2023
The Seventh Biennial Conference of East Asian Environmental History (EAEH) Time: June 28 – July 2 (Wednesday – Sunday), 2023Venu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 Institute for Basic Science (IBS), Daejeon, South Korea...
54th CAS Colloquium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 제54회 콜로키엄 주제: DMZ의 생태학적 해상도 확장 발표: 김수현(KAIST) 일시: 2023년 6월 1일 (목) 11:50-13:10 장소: 카이스트 N4동 1433호 & On-line (Zoom) Upscaling Ecological Resolutions of the DMZ Soo Hyun Kim (CAS, KAIST) 11:50-13:10, June 1 (Thur.), 2023 N4-1433, KAIST & On-line (Zoom)
53rd CAS Colloquium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 제53회 콜로키엄 주제: 한반도 접경지역과 산불의 정치학발표: 이승욱(KAIST)일시: 2023년 5월 18일 (목) 11:50-13:00장소: 카이스트 N4동 1433호 & On-line (Zoom) 53rd CAS Colloquium Geopolitics of Wildfires in the Inter-Korean BorderSeung-Ook Lee (DHCSS, KAIST)11:50-13:00, May 18 (Thur.), 2023N4-1433, KAIST & On-line (Zoom)
52nd CAS Colloquium
52nd CAS Colloquium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 제52회 콜로키엄 주제: 기후위기 탄소중립 시대의 패러다임 전환: 현황과 전망발표: 윤순진(서울대)일시: 2023년 5월 4일 (목) 11:50-13:10장소: On-line (Zoom) 52nd CAS Colloquium A Paradigm Shift in the Era of Climate Crisis and Carbon Neutrality: Current Status and ProspectsSun-Jin Yun (Seoul National University)11:50-13:10, May 4 (Thur.), 2023On-line (Zoom)
51st CAS Colloquium
The Geology of the Anthropocene Michael Wagreich (University of Vienna) 11:50-13:10, April 14 (Fri.), 2023 N4-1433, KAIST & On-line (Z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