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erials

Archive for Anthropocene Studies

인류세연구센터 연수연구원 모집 (~ 7/5)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에서 연수연구원(박사후 연구원, Post doc.)을 모집합니다. 분야: 인류세 연구 (인류세 시대 탄소중립에 관한 초학제적 연구)지원서 접수 방법: 온라인 채용 시스템 http://kaist.recruitment.kr지원 마감: 2022. 7. 5. 13:59서류심사 예정일: 2022. 7. 8.면접심사 예정일: 2022. 7. 18.임용 예정일: 2022. 9. 1. 자세한 사항은 첨부된 파일 및 하단 링크를 참조해 주십시오....

김형준 교수, 태풍 호우 빈도에 대한 지구온난화의 영향 밝히는 논문 출간

인류세 연구센터 소속 김형준 교수님께서 참여하신 논문 "Observed influence of anthropogenic climate change on tropical cyclone heavy rainfall"이 Nature Climate Change를 통해 4월 28일 출간되었습니다. 해당 논문은 지구 메타버스를 기술을 이용해 지난 50년간 관측된 동아시아 지역의 태풍 호우 빈도 증가가 인간이 초래한 기후변화의 영향이었음을 최초로 증명하였습니다. 카이스트...

도심의 백로가 인간에게 묻는다, 숲의 주인은 누구냐고

도심의 백로가 인간에게 묻는다, 숲의 주인은 누구냐고

매년 봄과 여름 카이스트 대전캠퍼스 근린에 거주하는 백로는 많은 사람들에게 골칫덩이인 동시에 함께 도시에 거주하는 이웃이기도 합니다. 줄어드는 숲과 인간의 불편 같은 문제와 함께 백로와의 조화로운 공존을 위해 백로의 행동 패턴 분석 연구를 하시는 인류세 연구센터의 성한아 박사님의 이야기가 기사로 소개되었습니다.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는 백로와 학생들과 공존 방안을 찾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성한아 박사는 “백로는 도시화에 비교적 잘 적응했지만, 소음, 냄새, 분변 등으로...

Application Notice for Disaster Haggyo #1

Application Notice for Disaster Haggyo #1

The Disaster Haggyo is sponsored by Center for Anthropocene Studies (CAS) and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Daejeon, South Korea. The instruction will take place on KAIST campus, with a multi-day field site trip to Jeju Island...

Triggered by Motion: A Digital Installation

Triggered by Motion: A Digital Installation

Triggered by Motion is a digital installation about how video and machine learning technologies are being put to use in multidisciplinary ecological surveillance study. In this compilation of video data from 21 conservation projects, Prof. Myung-Ae Choi from KAIST CAS...

부산현대미술관 X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 – 박범순, 전치형, 최명애 강연

부산현대미술관 X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 – 박범순, 전치형, 최명애 강연

부산현대미술관과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에서 공동으로 주관하는 전시-학술 연구 프로그램 Anthropocene 부재의 컨퍼런스에서 박범순, 전치형, 최명애 인류세연구센터 핵심연구원께서 강연을 진행하십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xfhjiQmVaV0 각 강연의 일정은 아래를 참조해 주십시오. 박범순, 실천적 개념으로서의 인류세, 그리고 인간의 역할 (12.02 목 19:00) 전치형, 미래(未來)는 오지 않는다 (12.09 목 19:00)...

카이스트 헤럴드에 실린 박범순 센터장 인터뷰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장 박범순 교수님과 카이스트 교내 영자신문 헤럴드 (KAIST Herald) 기자의 대담이 발간되었습니다. 2021 UN 기후변화협약을 맞아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과학 및 환경 정책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와 첨부문서를 확인해 주세요. Interview: Welcome to the Anthropocene! As the 2021 United Nations Climate Change Conference (COP26) took...

민경진|조용한 지구의 수호자, 식물

조용한 지구의 수호자, 식물 민경진 "생명체는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태양에너지는 지구에서 가장 풍부하고 무한한 에너지원이지만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생명체는 태양에너지를 직접적으로 이용할 수 없다. 태양에너지를 흡수하는 엽록소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엽록소가 없는 생명체는 이 색소를 가지고 있는 생명체에 기대어 에너지를 얻어야 한다." 과학잡지 에피(EPI) 17호, 253~265쪽...

「호흡공동체: 미세먼지, 코로나19, 폭염에 응답하는 과학과 정치」 출간 (전치형, 김성은, 김희원, 강미량 지음)

「호흡공동체: 미세먼지, 코로나19, 폭염에 응답하는 과학과 정치」 출간 (전치형, 김성은, 김희원, 강미량 지음)

「호흡공동체: 미세먼지, 코로나19, 폭염에 응답하는 과학과 정치」 전치형, 김성은, 김희원, 강미량 지음 세가지 공기재난(미세먼지, 코로나19, 폭염)이 한국사회를 숨막히게 하고 있다. 당연한 삶의 배경이던 공기는 공들여 관리해야 할 삶의 조건이 되었다. 『호흡공동체: 미세먼지, 코로나19, 폭염에 응답하는 과학과 정치』는 한국사회라는 ‘호흡공동체’를 조율하고 회복하기 위한 공공의 과학과 정치를 제안하는 책이다. 안심하고 숨쉴 공간이 점점 좁아지고 함부로 호흡을 나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