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erials

Archive for Anthropocene Studies

EAEH 2023

The Seventh Biennial Conference of East Asian Environmental History (EAEH) Time: June 28 – July 2 (Wednesday – Sunday), 2023Venu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 Institute for Basic Science (IBS), Daejeon, South Korea For more info,...

50th CAS Colloquium

50th CAS Colloquium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 제50회 콜로키엄 주제: 인류세에서의 호랑이: 라오스에서 인간과 호랑이의 상호작용 연구 발표: 임정은(국립생태원) 일시: 2023년 3월 23일 (목) 11:50-13:10 장소: 카이스트 N4동 1433호 & On-line (Zoom) 50th CAS Colloquium Tigers in the Anthropocene: A Study of Human-Tiger Interactions in Laos Jeong Eun Lim (National...

49th CAS Colloquium

49th CAS Colloquium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 제49회 콜로키엄 주제: 정의로운 인공지능을 이용한 초단기기상 예측기술개발 발표: 김창익, 김형준, 박범순, 최명애(KAIST) 일시: 2022년 11월 29일 (화) 11:50-13:10 장소: 카이스트 N4동 1433호 & On-line (Zoom) 49th CAS Colloquium Just AI for NowcastingChangick Kim, Hyungjun Kim, Buhm Soon Park, Myung Ae Choi...

48th CAS Colloquium

48th CAS Colloquium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 제48회 콜로키엄 48th CAS Colloquium Reimagining Museums for Climate ActionColin Sterling (University of Amsterdam) Rethinking Heritage in the AnthropoceneRodney Harrison (University College London) 11:50-13:30, November 10 (Thur.), 2022N4-1433, KAIST &...

47th CAS Colloquium

47th CAS Colloquium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 제47회 콜로키엄 47th CAS Colloquium 주제: 기후-생태위기와 인권 발표: 조효제(성공회대) 일시: 2022년 10월 27일 (목) 11:50-13:10 장소: 카이스트 N4동 1433호 & On-line (Zoom) Human Rights in Climate and Ecological Crises Hyo-Je Cho (SungKongHoe University) 11:50-13:10, October 27 (Thur.), 2022...

김형준 교수 연구팀, 가뭄이 일상화되는 근미래 최초 예측

김형준 교수 연구팀, 가뭄이 일상화되는 근미래 최초 예측

인류세연구센터 Sensing 그룹 소속 김형준 교수님과 그 연구팀이 가까운 미래에 극한의 가뭄이 일상화되는 시점을 최초로 예측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수치 시뮬레이션을 이용, 담수 변동성을 파악함으로써 2030년과 2050년 사이에 세계 각지에서 가뭄이 지속적으로 일어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재난의 일상화"에 장기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본 연구는 Nature Communications에 "The timing of unprecedented...

남욱현 박사, 김형준 교수, 민경진-최명애 교수 연구팀 논문 발표

남욱현 박사, 김형준 교수, 민경진-최명애 교수 연구팀 논문 발표

인류세연구센터 소속 남욱현 박사님, 김형준 교수님, 민경진-최명애 교수님께서 새로이 논문을 출간했다는 소식입니다. 아래 링크와 PDF 버튼을 통해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축하드립니다! The effect of bottomset on fluviodeltaic land-building process: Numerical modeling and physical experiment 강 하구의 삼각주는 많은 인구가 거주하는 지역이다. 그러나 해수면 상승, 지반 침하, 퇴적물 공급 감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