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중 교수 연구진은 두 가지 연구 주제에 집중한다. 첫째는 이론적인 것으로서, 우선 인류세적 조건이 사회이론이 탐구해 온 ‘사회적인 것’의 논의에 결정적인 전환을 가져왔다고 보고, (비)인간 행위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정립과 해명, 자본세와의 관계 규계 규명을 통한 인류세 발생 설명, 재귀적 파국(reflexive catastrophism) 개념, 기술적 삶의 형식 개념 등을 통해서 새로운 이론화작업을 시도한다. 둘째는 경험적 연구로서, 그간 제시해 온 생존주의(survivalism) 개념을 인류세적 조건에 적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인류세적 생존주의’의 유형들, 관행들, 네트워크 등을, 그 이념적 내용들, 환상적 의미론들, 그리고 정동적 표현물들의 관점에서 탐구하고자 한다. SF 분석, 생존주의자 클럽 현장연구, 과학기술이 표상하는 유토피아들에 대한 탐구, 생존주의의 논리들에 대한 접근이 그에 해당한다.
Prof. Hong-Jung Kim’s research team will be focusing on two different themes. First theme is theoretical; considering that Anthropocene conditions brought decisive turning points to the concept and reality of the social, the team will attempt to experiment new theoretical frameworks based on several notions such as reflexive catastrophism, Capitalocene, agency-pagency dialectics, technical form of life, etc. Second is empirical; based on the concept of the survivalism, the team will explore new forms of Anthropocene survivalism, in terms of its ideological contents, fantasy semantics, affective expressions, etc – SF, survivalist clubs, utopias represented by technoscience, and survivalist logics, for in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