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agement

 

 

In addition to academic research, public engagement is a core value of the Center. Recognizing that the Anthropocene demands a reflection on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the Center aspires to communicate with the general public in various ways – through museum exhibitions, documentary films, open lectures/workshops, publications, and social media. 

 

MOU with Korean Internet Newspaper Association

On May 23, 2019, the Center signed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with Korean Internet Newspaper Association, looking for media outreach.

Documentary series on the Anthropocene (in collaboration with EBS)

http://home.ebs.co.kr/docuprime/index
A three-part documentary series on the Anthropocene, scheduled to air in June 2019 (PD: Pyeongsoon Choi)

Publication (in collaboration with Magazine Epi, Gyoyu Books ets)
Educational Program (in collaboration with STP, KAIST)
Social Media: Facebook
Exhibition (in collaboration with Seoul Science Center)

http://science.seoul.go.kr/main 
Facing the Anthropocene (2020/2021, tentative)
How to Live on the Damaged Planet (2024, tentative)

Art project on the Anthropocene (in collaboration with local artists)

Our collaborating artists include: Jinhwon Hong (http://jinhwon.com/)

Recent Posts

50th CAS Colloquium

50th CAS Colloquium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 제50회 콜로키엄 주제: 인류세에서의 호랑이: 라오스에서 인간과 호랑이의 상호작용 연구 발표: 임정은(국립생태원) 일시: 2023년 3월 23일 (목) 11:50-13:10 장소: 카이스트 N4동 1433호 & On-line (Zoom) 50th CAS Colloquium Tigers in the Anthropocene: A Study of Human-Tiger Interactions in Laos Jeong Eun Lim (National...

read more
49th CAS Colloquium

49th CAS Colloquium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 제49회 콜로키엄 주제: 정의로운 인공지능을 이용한 초단기기상 예측기술개발 발표: 김창익, 김형준, 박범순, 최명애(KAIST) 일시: 2022년 11월 29일 (화) 11:50-13:10 장소: 카이스트 N4동 1433호 & On-line (Zoom) 49th CAS Colloquium Just AI for NowcastingChangick Kim, Hyungjun Kim, Buhm Soon Park, Myung Ae Choi...

read more
48th CAS Colloquium

48th CAS Colloquium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 제48회 콜로키엄 48th CAS Colloquium Reimagining Museums for Climate ActionColin Sterling (University of Amsterdam) Rethinking Heritage in the AnthropoceneRodney Harrison (University College London) 11:50-13:30, November 10 (Thur.), 2022N4-1433, KAIST &...

read more
47th CAS Colloquium

47th CAS Colloquium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 제47회 콜로키엄 47th CAS Colloquium 주제: 기후-생태위기와 인권 발표: 조효제(성공회대) 일시: 2022년 10월 27일 (목) 11:50-13:10 장소: 카이스트 N4동 1433호 & On-line (Zoom) Human Rights in Climate and Ecological Crises Hyo-Je Cho (SungKongHoe University) 11:50-13:10, October 27 (Thur.), 2022...

read more
46th CAS Colloquium

46th CAS Colloquium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 제46회 콜로키엄 주제: 한국 하구에서 인류세 환경변화와 지질경계발표: 이관홍(인하대) 일시: 2022년 10월 6일 (목) 11:50-13:10장소: 카이스트 N4동 1433호 & On-line (Zoom)  46th CAS Colloquium Examination of Anthropocene Boundary in Korean Altered EstuariesGuan-hong Lee (Inha University)11:50-13:10,...

read more
45th CAS Colloquium

45th CAS Colloquium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 제45회 콜로키엄45th CAS Colloquium 주제: 자연과 인류의 조화로운 공존을 위한 미래 시나리오 개발: 내러티브의 방향성과 방법론에 대하여발표: 김혜진(마틴루터대, 독일 생물다양성 통합연구센터)일시: 2022년 9월 15일 (목) 11:50-13:10장소: 카이스트 N4동 1433호 & On-line (Zoom) Developing Future Scenarios for Living in Harmony with Nature:...

read more
김형준 교수 연구팀, 가뭄이 일상화되는 근미래 최초 예측

김형준 교수 연구팀, 가뭄이 일상화되는 근미래 최초 예측

인류세연구센터 Sensing 그룹 소속 김형준 교수님과 그 연구팀이 가까운 미래에 극한의 가뭄이 일상화되는 시점을 최초로 예측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수치 시뮬레이션을 이용, 담수 변동성을 파악함으로써 2030년과 2050년 사이에 세계 각지에서 가뭄이 지속적으로 일어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재난의 일상화"에 장기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본 연구는 Nature Communications에 "The timing of unprecedented...

read more
남욱현 박사, 김형준 교수, 민경진-최명애 교수 연구팀 논문 발표

남욱현 박사, 김형준 교수, 민경진-최명애 교수 연구팀 논문 발표

인류세연구센터 소속 남욱현 박사님, 김형준 교수님, 민경진-최명애 교수님께서 새로이 논문을 출간했다는 소식입니다. 아래 링크와 PDF 버튼을 통해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축하드립니다! The effect of bottomset on fluviodeltaic land-building process: Numerical modeling and physical experiment 강 하구의 삼각주는 많은 인구가 거주하는 지역이다. 그러나 해수면 상승, 지반 침하, 퇴적물 공급 감소로...

read more

인류세연구센터 연수연구원 모집 (~ 7/5)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에서 연수연구원(박사후 연구원, Post doc.)을 모집합니다. 분야: 인류세 연구 (인류세 시대 탄소중립에 관한 초학제적 연구)지원서 접수 방법: 온라인 채용 시스템 http://kaist.recruitment.kr지원 마감: 2022. 7. 5. 13:59서류심사 예정일: 2022. 7. 8.면접심사 예정일: 2022. 7. 18.임용 예정일: 2022. 9. 1. 자세한 사항은 첨부된 파일 및 하단 링크를 참조해 주십시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