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 제43회 콜로키엄 주제: 조선의 두루미 키우기와 인류세 발표: 이정(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 일시: 2022년 5월 26일 (목) 11:50-13:10 장소: 카이스트 N4동 1443호 & On-line (Zoom)
43rd CAS Colloquium
Anthropocene of Late Joseon Korea through Crane Companionship Jung Lee (Ewha Womans University) 11:50-13:10, May 26 (Thur.), 2022 N4-1433, KAIST & On-line (Zoom)
The Disaster Haggyo is sponsored by Center for Anthropocene Studies (CAS) and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Daejeon, South Korea. The instruction will take place on KAIST campus, with a multi-day field site trip to Jeju Island and a day trip to Ansan, South Korea.
The Disaster Haggyo is led by Scott Gabriel Knowles, and includes Dr. Kim Fortun, plus additional disaster research experts and artists-in-residence as instructors. Additional instruction will be provided by graduate students of the Graduate School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STP), KAIST.
Applicants may include: advanced undergraduate students, graduate students, postdoctoral researchers, and faculty from any discipline–science, engineering, medicine/health, social sciences all encouraged! Journalists, artists, and activists are also highly encouraged to apply. We strive to achieve a highly diverse student cohort, and students from anywhere in the world are eligible.
What is the Disaster Haggyo?
The wide variety and impact of disasters globally demands new approaches to research, collaboration, and disaster justice. The Disaster Haggyo is a disaster studies school aimed at accelerating the implementation of cutting-edge disaster research for maximum benefit to communities. The Disaster Haggyo will draw social scientists, engineers, and scientists together for collaborative research. The Disaster Haggyo will facilitate deep learning in the ways that disaster history shapes the present vulnerabilities and strengths of a community. Disaster-impacted communities need a greater voice in disaster research and policy formation if there is to be measurable progress against the slow disasters of industrial pollution, climate change, and the threat of new disease outbreaks. The Disaster Haggyo, therefore, facilitates three activities simultaneously: 1) new interdisciplinary disaster research in areas of greatest national need; 2) a new pedagogical model for increasing skill among disaster researchers, skill necessary for technology and policy innovation; 3)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action for developing safer, disaster-resistant communities.
Three sessions are available (choose one or more):
August 14-21, 2022
August 18-25, 2022
*Online Campus: August 22, 23, 24
*Online Disaster Haggyo: This option is provided for participants who would like to participate and are not able to travel to South Korea. Lecture materials, live sessions, and interactive dialogue will be made available for several hours on each of the three days.
재난학교는 대한민국 대전에 위치한 한국과학기술원(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과 인류세 연구센터(Center for Anthropocene Studies, CAS)가 주관하는 행사입니다. 수업은 주로 KAIST 캠퍼스에서 이루어질 예정이며, 제주도에서 며칠, 안산에서 하루 동안의 현장 답사를 포함합니다.
재난학교는 스캇 게이브리얼 놀스가 이끄는 행사로, 킴 포춘 등 재난 연구 전문가와 예술가가 교사로서 참여합니다. 이에 더하여 KAIST의 대학원생이 추가 설명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과학, 공학, 의학 및 보건, 사회과학 등 분야를 막론하고 우수한 학부생, 대학원생, 박사후 연구원, 교수 모두를 환영합니다. 기자, 예술가, 활동가 등의 집단도 매우 환영합니다. 우리는 다양한 학생 집단과 함께하기를 희망하며, 전세계 모든 지역의 학생이 참가 자격을 갖추고 있습니다.
재난학교란?
세계적으로 그 종류와 영향이 다양한 재난은 연구, 협력, 그리고 재난 정의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식을 요구합니다. 재난학교는 재난학(disaster studies) 학교로서 선도적인 재난 연구를 공동체의 최대 이익을 위해 시행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재난학교는 사회 과학자, 공학자, 과학자의 협동 연구를 이끌어낼 것입니다. 재난학교는 재난의 역사가 현재 공동체가 가진 힘과 취약성과 형성해온 방식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산업 공해, 기후 변화 및 새로운 질병 발병의 위협과 같은 느린 재난에 대한 측정 가능한 진전을 위해서는 재난에 영향받은 공동체가 재난 연구 및 정책 형성에 더 큰 목소리를 내야 합니다. 이에 재난학교는 다음 세 가지 활동을 동시에 촉진할 것입니다. 1) 국가적으로 절실히 필요한 영역에서 새로운 간학제적 재난 연구. 2) 재난 연구자들의 기량과 기술 및 정책 혁신에 요구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교육학적 모델 제시. 3) 더 안전하고, 재난에 저항력 있는 공동체를 위한 공동체 기반 행동의 개발.
세가지 세션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하나 이상 선택 가능.)
2022년 8월 14-21일
2022년 8월 18-25일
*온라인 캠퍼스 : 2022년 8월 22-24일
* 온라인 재난학교: 이 선택지는 재난학교에 참석하고 싶지만 한국에 방문할 수 없는 참가자들을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3일 동안 매일 몇 시간 분량의 강의 자료와 실시간 세션, 상호 대화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주제: 대가속의 짙은 어두움: 20세기 한국 공해사 연구를 향하여 발표: 고태우(서울대) 일시: 2022년 4월 28일 (목) 11:50-13:10 장소: 카이스트 N4동 1443호 & On-line (Zoom)
The Darkness of the Great Acceleration: Towards the Environmental History of Korean Pollution in the 20th Century Tae-woo Ko (Seoul National University) 11:50-13:10, April 28 (Thur.), 2022 N4-1443, KAIST & On-line (Zoom)
주제: 감각과 사물: 한국 사회를 읽는 새로운 코드 발표: 김은성(경희대) 일시: 2022년 4월 14일 (목) 11:50-13:10 장소: 카이스트 N4동 1443호 & On-line (Zoom)
40th CAS Colloquium
Senses and Things: A New Code to Read Korean Society Eun-sung Kim (Kyung Hee University) 11:50-13:10, April 14 (Thur.), 2022 N4-1443, KAIST & On-line (Z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