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ungjoo Lee

이병주 (KAIST 문화기술대학원))

 

인류세를 위한 공학적 상상: 뉴미디어 아트를 중심으로

Engineering Imagination for the Anthropocene: Focusing on New Media Art

이병주 교수 연구진은 인류세가 가져온 인간과 인공물, 인간과 자연물 사이의 신사이버네틱스적 관계를 매개하는 새로운 공학적 인터페이스들을 상상하고 작품으로 제작하여 전시한다. 특히 연구진은 공학과 예술의 통합으로서 뉴미디어 아트라는 창을 통해 인류세를 조망하고 현상화함으로써 주체-객체의 이분법적 사고를 탈피하고 고도의 상호작용성에 초점을 둔 관계성에 대한 새로운 상상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류세연구센터 개소 이후 이병주 교수 연구진은 뉴미디어 아트 도큐멘테이션의 생산패턴에 대한 분석 연구(Leonardo, 2019), 인터넷 방송을 소비하는 인간의 수동성을 드러내는 인공지능 시뮬레이터 작품(국립아시아문화전당 및 금천예술공장 전시, 2019), 게임이란 형식을 빌어 작품과 관객 사이의 새로운 상호작용성을 탐구한 <오락실展> (PlaceMAK, 2019) 등을 발표함으로써 인류세에서 인간과 인공물이 맺을 수 있는 역동적 연동의 가능성들을 다양하게 보여주고 있다.

Prof. Byungjoo Lee’s research team imagines, creates, and exhibits experimental engineering interfaces that mediate the neo-cybernetic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rtifacts, and humans and naturals. In particular, the team approaches the Anthropocene through a methodology called new media art, which is an integration of engineering and art. It aims to escape the dichotomous thinking of subject-object and to present a new imagination focusing on the high interactivity between human-artifact-nature. Since the opening of the Center for Anthropocene Studies, Prof. Lee’s research team has analyzed the production patterns of new media art documentation (Leonardo, 2019), created an artificial intelligence simulator that reveals the passiveness of humans who consume internet broadcasting (exhibited in National Culture Center of Asia and Geumcheon Art Factory, 2019), and exhibited “Gaming Room” (PlaceMAK, 2019), which explored new interactivity between the artwork and the audience in the form of games. These studies have successfully demonstrated the possibilities of dynamic coupling between humans and artifacts in the Anthropoce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