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s
[미래오디세이]인공지능과 인공지구
경향신문 미래 오디세이전치형 "만능 해결사 같은 인공지능에 한계를 부여하는 것은 인공지구이다. 인공지능의 가능성도 인공지구의 관점에서 생각할 때 더 현실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2100년에도 인간은 인공지능과 결합해서 신이 되지 못한 채, 여전히 인공지구의 땅과 대기 속에서 발버둥치고 살면서 이런저런 일에서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게 될 것이다. 인류세의 인간은 인간이 만든 지능과 인간이 만든 지구라는 조건 사이에서 살게 되었다."...
[Journal] Anthropocene: on the starting point and the significance of the new geological epoch
Jisung Kim, Wook-Hyun Nahm and Hyoun Soo Lim, 2016, "Anthropocene: on the starting point and the significance of the new geological epoch."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 52, no. 2, p. 163-171 김지성, 남욱현, 임현수, 2016, "인류세(Anthropocene)의 시점과 의미."...
[KIGAM] 미래 지구를 위한 담대한 담론: 인류세를 연구하는 남욱현 박사
"미래 지구를 위한 담대한 담론: 인류세를 연구하는 남욱현 박사"2019 지질, 자원, 사람 170: 18-21* 이 자료의 출처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소식지 170호 18-21쪽(2017년)입니다.해당 기관의 허가를 받아 게시하였으며, 은 www.kigam.re.kr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KIGAM] 대담: 인류, 미래의 가능성을 움켜쥔 단 하나의 지적 생명체 – 남욱현 외
"인류, 미래의 가능성을 움켜쥔 단 하나의 지적 생명체" (남욱현 외 대담)* 이 자료의 출처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소식지 156호 17-19쪽(2017년)입니다.해당 기관의 허가를 받아 게시하였으며, 은 www.kigam.re.kr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KIGAM] 새로운 운명과 마주한 호모 사피엔스 – 이정모
"새로운 운명과 마주한 호모 사피엔스" (이정모, 서울시립과학관장)* 이 자료의 출처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소식지 156호 9-11쪽(2017년)입니다.해당 기관의 허가를 받아 게시하였으며, 은 www.kigam.re.kr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KOR Translation] 아프리카 인류세
가브리엘 헥트, 아프리카 인류세Gabrielle Hecht, “The African Anthropocene”조승희 옮김 게재: 과학잡지 에피(EPI) 8호, 58~75쪽 Original text: AEON, https://aeon.co/essays/if-we-talk-about-hurting-our-planet-who-exactly-is-the-we 전문 보기 | Full translation...
[KOR Translation] ‘인류세’는 ‘기후 변화’와 어떻게 다르며 왜 중요한가
줄리아 애드니 토머스, '인류세'는 '기후 변화'와 어떻게 다르며 왜 중요한가Julia Adeney Thomas, "Why the 'Anthropocene' Is Not 'Climate Change' and Why It Matters"김동진 옮김 개제: 과학잡지 에피(EPI) 7호, 190~197쪽 Original text: Asia Global Online, https://www. asiaglobalonline.hku.h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