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s
최명애 | 인문사회, 생태학, 공학 연구자의 ‘AI 생태학자’ 함께 만들기
EPI 15호 최명애(2021), 인문사회, 생태학, 공학 연구자의 'AI 생태학자' 함께 만들기 PDF...
남욱현, 민경진|기후 재앙 앞둔 인류세, 해수면 상승을 막아라
남욱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민경진 KAIST 인류세연구센터 연구교수 2021년 1월호 "숨 막히는 미세먼지, 생명을 위협하는 폭염, 하염없이 찾아오는 폭우와 태풍. 워낙 다양한 기상이변을 겪다 보니 이제는 일상이 돼버렸고, 기후변화라는 말에도 오히려 무덤덤해진 듯하다. 사실 급격한 기후변화는 생각보다 훨씬 심각한 현상이다. 티모시 렌턴 영국 엑시터대 기후시스템연구소 교수 등 7명의 학자는 2019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서 기후변화의 주요 현상(티핑포인트)을...
김동주|인류가 동식물과 맺는 다종관계의 시각에서 바라본 박쥐와 진드기 이야기
"인류가 동식물과 맺는 다종관계의 시각에서 바라본 박쥐와 진드기 이야기" 필자: 김동주 "이제 1년이 되어 가는 코로나19 팬데믹을 '적자생존', '확장된 표현형'과 같은 투박한 개념들로 이해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이런 방식으로는 팬데믹을 겪으면서 발생하는 사회와 문화의 변화, 사회 집단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개개인이 경험하게 되는 어려움을 서술하고 분석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당장 코로나바이러스의 발생과 기원도 인간의 산업화와 개발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현대사와 분리하여...
First finding of impact cratering in the Korean Peninsula
"First finding of impact cratering i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article by Jaesoo Lim, Sei-Sun Hong, Min Han, Sangheon Yi, Sung Won Kim...
박범순|그린뉴딜 블루 – 기후위기는 왜 ‘위기’로 인식되지 않는가?
EPI 13호 박범순(2020), 그린뉴딜 블루 - 기후위기는 왜 '위기'로 인식되지 않는가? PDF...
김홍중|인류세의 관점에서 본 2020년의 세계
웹진 김홍중, "인류세의 관점에서 본 2020년의 세계" PDF...
최명애|비인간 행위성과 제주 돌고래 생태관광의 정치경제
최명애(2020) "비인간 행위성과 제주 돌고래 생태관광의 정치경제(Wild, Cute and Free Dolphins)"문화역사지리 32(1): pp. 126-145...
박범순|인류세 시대, 전염병을 어떻게 볼 것인가?
EPI 12호 박범순(2020), 인류세 시대, 전염병을 어떻게 볼 것인가? PDF...
김희원, 김성은|리뷰: 인류세 시대의 컴퓨팅
김희원, 김성은 (2020) "인류세 시대의 컴퓨팅: 인간과 지구를 매개하는 컴퓨팅 기술" 과학기술학연구 제20권 1호...
최명애|세상의 끝을 보러 미시시피에 가다
EPI 11호 최명애(2020), 세상의 끝을 보러 미시시피에 가다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