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욱현 박사, 김형준 교수, 민경진-최명애 교수 연구팀 논문 발표

Jul 3, 2022 | news

인류세연구센터 소속 남욱현 박사님, 김형준 교수님, 민경진-최명애 교수님께서 새로이 논문을 출간했다는 소식입니다. 아래 링크와 PDF 버튼을 통해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축하드립니다!

The effect of bottomset on fluviodeltaic land-building process: Numerical modeling and physical experiment

강 하구의 삼각주는 많은 인구가 거주하는 지역이다. 그러나 해수면 상승, 지반 침하, 퇴적물 공급 감소로 인해 세계적으로 삼각주가 유실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유실 속도를 늦추고 원래의 지형을 복원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논의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위적으로 강물의 방향을 전환하여 삼각주를 새롭게 형성하는 ‘강 전환’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김원석 교수(연세대)와 남욱현 박사 연구팀은 기존의 ‘강 전환’ 방법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았던 점토 퇴적물의 영향을 미시시피 강 하구를 대상으로 컴퓨터 모델링을 기법을 통해 연구하였다. 모델링 결과 점토의 퇴적이 삼각주 형성을 크게 돕는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강 전환’ 방법이 모래뿐만 아니라 점토가 잘 퇴적되는 환경에 적용된다면 실현 가능성이 더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 성과는 2022년 Basin Research에 출판되었다.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full/10.1111/bre.12684 (link)

Observed influence of anthropogenic climate change on tropical cyclone heavy rainfall

김형준 교수는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과거 50여 년간 관측된 동아시아 지역의 태풍에 의한 호우 빈도의 증가가 인간 활동에 의한 기후변화의 영향이었음을 지구 메타버스 기술을 이용해 처음으로 증명했다. 김형준 교수의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 (Nature Climate Change)’2022년 4월 28일 판에 출판됐다.

https://doi.org/10.1038/s41558-022-01344-2 (link)

Resource landscape, microbial activity, and community composition under wintering crane activities in the Demilitarized Zone, South Korea

최명애 교수와 민경진 교수는 ‘한국의 인류세 공간 DMZ 생태 연구’의 일환으로 철원 지역 철새(두루미) 도래가 인간(농민)의 상호작용에 주목해 왔다. 연구팀은 겨울 철새의 농경지 이용이 토양 생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과학적 증거를 수집하였다. 3개월간의 두루미 활동으로 논 토양 내 탄소와 질소 함량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미생물의 양, 활동, 종류가 유의미하게 늘어났음을 보여주었다. 해당 연구는 농경지 일부를 철새에 할애하는 생물다양성계약이 야생동물 보전뿐 아니라 미생물 생태계 활성화를 통해 농업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보여줌으로써 생물다양성계약 정책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http://doi.org/10.1371/journal.pone.0268461